전력용 콘덴서, 설비의 부속기기(직렬리액터와 방전코일)

1. 전력용 콘덴서 설비란? 전력용 콘덴서는 전력 시스템에서 역률을 개선하고 전력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하지만 콘덴서의 특성상 일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부속기기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부속기기로는 직렬 리액터와 방전 코일이 있으며, 각각의 역할과 사용 목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직렬 리액터(Series Reactor) 2.1 직렬 리액터의 사용 목적 전력용 콘덴서는 … 더 읽기

화재 발생 시 계단이 굴뚝으로 변한다. 화재시 계단의 위험성!

1. 아파트 화재 시 계단이 굴뚝 역할을 하는 원리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와 유독가스가 빠르게 계단을 통해 위층으로 확산됩니다. 이 과정에서 계단이 굴뚝 효과(Stack Effect)를 일으켜 연기를 강하게 빨아들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1.1 굴뚝 효과(Stack Effect)란? 굴뚝 효과(Stack Effect)는 온도 차이에 의해 공기가 위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이 원리는 일반적인 굴뚝과 동일하게 작용하며, 아파트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 더 읽기

절연용 방호구와 절연용 보호구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절연용 보호구와 절연용 방호구란? 전기 작업에서 안전 확보는 필수적이며,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절연 장비가 사용됩니다. 절연용 보호구와 절연용 방호구는 모두 전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도구이지만, 그 목적과 사용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절연용 보호구: 작업자가 직접 착용하여 감전을 방지하는 개인 보호 장비 절연용 방호구: 전기 설비 또는 작업 환경에 설치하여 감전 및 … 더 읽기

절연협조(절연계급과 기준충격 절연강도)란 무엇인가?

1. 절연협조(Insulation Coordination)란? 절연협조는 발전소, 변전소, 송·배전선로 등 전력설비 전체의 절연설계를 보호장치와 관련시켜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개념입니다. 목적은 설비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입니다. 전력계통에서 과전압(낙뢰, 개폐서지 등)으로부터 장비를 보호 불필요한 절연비용을 줄이고, 신뢰성 높은 전력공급 유지 보호장치(피뢰기 등)와의 협조를 통해 장비 손상 방지 즉, 절연협조는 적절한 절연수준을 결정하여 전력설비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설계 전략입니다. 2. 절연계급(Insulation … 더 읽기

선로정수의 인덕턴스란 무엇일까?

1. 인덕턴스(Inductance)란? 인덕턴스는 전선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전압과 관련된 비례상수입니다. 이는 전류 변화에 대한 저항 성질을 가지며, 전력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각 상에서의 인덕턴스 계산식 3.1 단상 2선식(싱글 라인) 단상 2선식에서의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4. 인덕턴스의 중요성 및 활용

송전선로 코로나 현상, 문제점, 방지대책

1. 코로나 현상이란? 코로나 현상(Corona Discharge)은 초고압 송전선로 주변에서 발생하는 방전 현상입니다. 송전선로의 국부적인 전압이 절연 강도를 초과할 경우, 공기 중에 전자가 방출되면서 불꽃 방전과 잡음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2. 공기의 파열 극한 전위강도 코로나 현상은 공기의 파열 전위강도(Air Breakdown Voltage)를 초과할 때 발생합니다. 3. 코로나 임계전압 계산식 코로나 임계전압(E₀)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4. … 더 읽기

중대재해처벌법이란? (중대산업재해, 중대시민재해)

1. 중대재해처벌법의 목적 중대재해처벌법은 산업재해 및 시민재해를 예방하고, 사업주 및 경영책임자에게 책임을 부과하여 근로자와 시민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 요약: ● 산업 및 시민재해 예방 ● 경영책임자의 안전·보건 조치 의무 강화 ● 근로자 및 시민의 생명 보호 2. 중대재해의 유형 중대재해는 크게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로 나뉜다. 2.1 중대산업재해란? 중대산업재해는 근로자가 산업현장에서 겪는 중대한 … 더 읽기

필로티 원룸 화재 시 대피방법, 대처방안!

필로티 구조는 건물 1층을 기둥으로만 지지하고 개방된 공간(주차장, 상가 등)으로 활용하는 형태입니다. 하지만 화재 발생 시 필로티 구조는 “굴뚝 효과”를 일으켜 불과 연기가 빠르게 확산되는 위험이 있습니다. 1. 필로티 건물 화재의 위험성 필로티 구조는 일반 건물보다 화재 시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1. 개방된 구조로 인해 불길이 빠르게 확산됨 … 더 읽기

터널에 불났을때 화재 대피 방향🔥

터널 화재는 일반적인 도로 화재보다 훨씬 위험합니다. 밀폐된 구조로 인해 연기, 유독가스, 고온이 빠르게 확산되며, 대피 경로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화재 발생 시 올바른 대피 방향을 선택하는 것이 생존 확률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 터널 화재의 위험성 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여러 가지 치명적인 위험이 발생합니다.   1.1. 연기와 유독가스의 급속한 확산   1.2. 높은 화재 … 더 읽기

ESS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장치 위험성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시스템)는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입니다. 최근 친환경 에너지 및 스마트 그리드의 발전과 함께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1. ESS 정의 ESS는 전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방출하는 장치로, 배터리, 전력 변환 장치(PCS), 관리 시스템(BMS, EMS) 등으로 구성됩니다. ESS는 잉여 전력을 저장하여 전력 수요가 높은 시간대에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