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입 개폐기(부하개폐기, 자동고장구분개폐기, 라인스위치)

전기설비에서 개폐기는 전력 공급을 조절하고, 사고 발생 시 회로를 안전하게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인입 개폐기는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핵심 장치로, 여러 유형의 개폐기가 존재합니다.

본 문서에서는 부하개폐기, 자동고장구분개폐기, 라인스위치의 기능과 특징을 설명하겠습니다.


1. 인입 개폐기란?

 

인입 개폐기는 전력 공급 시스템에서 외부 전력을 받아 내부 배전반으로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개폐 장치입니다.


주요 기능

  • 전력 공급을 개폐하여 정상적인 전력 흐름을 유지
  • 과부하 또는 단락(단선) 시 전력을 안전하게 차단
  • 설비 유지보수 시 전원을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

 

2. 주요 개폐기 종류

 

1) 부하개폐기 (Load Break Switch, LBS)

부하개폐기는 전압을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설계된 스위치로, 주로 부하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전력을 차단할 때 사용됩니다.


특징 및 역할

  • 부하 전류 차단 가능: 정상적인 부하 전류를 안전하게 개폐
  • 고압 회로에 주로 사용: 22.9kV급 배전선로에서 사용
  • 차단기와의 차이점: 단락 전류 차단 기능은 없음 (단락 보호는 별도의 차단기가 필요)

    주요 용도

  • 변압기 보호 및 전력 설비 유지보수 시 사용
  • 배전반 및 변전소에서 회로 분리를 위한 개폐기

2) 자동고장구분개폐기 (Automatic Sectionalizing Switch, ASS)

자동고장구분개폐기는 배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구간을 차단하여 고장 구역을 격리하는 장치입니다.


특징 및 역할

  • 고장 발생 시 자동 차단: 특정 구간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개폐
  • 정전 범위 최소화: 전력 공급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불필요한 정전을 방지
  • 재폐로 기능 없음: 전력회복(자동 복구) 기능은 없으며, 고장구간을 격리하는 역할 수행

    주요 용도

  • 고장 발생 시 비고장 구간의 정상적인 전력 공급 유지
  • 전력 설비의 안정성 향상 및 유지보수 효율 극대화

3) 라인스위치 (Line Switch, LS)

 

라인스위치는 배전선로에서 특정 회로를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개폐기입니다. 주로 선로 유지보수 및 긴급상황 시 사용됩니다.

특징 및 역할

  • 고장 발생 시 수동 개폐 가능: 사람이 직접 조작하여 선로를 개폐
  • 부하 전류 차단 불가능: 부하가 흐르는 상태에서는 차단할 수 없으며, 무부하 상태에서만 개폐
  • 배전선로 유지보수용: 설비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사용

    주요 용도

  • 특정 선로를 분리하여 유지보수 작업 수행
  • 긴급 정전 시 특정 구역을 차단하여 고장 원인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함

3. 주요 개폐기 비교표

 

개폐기 종류기능 및 특징부하 개폐 가능 여부자동 개폐 기능주요 용도
부하개폐기 (LBS)정상 부하 전류 개폐 가능, 단락 차단 불가✅ 가능❌ 없음변압기 보호, 배전반 회로 개폐
자동고장구분개폐기 (ASS)고장 발생 시 자동 차단, 정전 범위 최소화❌ 불가능✅ 있음고장 구간 자동 차단, 전력 안정성 유지
라인스위치 (LS)무부하 상태에서 회로 개폐, 유지보수용❌ 불가능❌ 없음배전선로 유지보수, 긴급 차단

4. 개폐기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부하 전류를 개폐해야 하는가? → 부하개폐기(LBS) 필요
  • 자동으로 고장 구간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가? →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필요
  • 단순한 회로 개폐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개폐기가 필요한가? → 라인스위치(LS) 사용

5. 결론

전력 설비에서 개폐기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부하개폐기(LBS),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라인스위치(LS)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