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장에서의 폭발 사고는 유형에 따라 원인도 다르고, 예방 방법도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착화파괴형 폭발, 누설착화형 폭발, 반응폭주형 폭발의 차이와 그에 따른 예방 대책을 정리합니다.
각 유형은 소방설비기사, 위험물기능장, 산업안전 기사 등 자격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됩니다.
✅ 폭발 형태별 정의와 예방 대책
폭발 형태 | 설명 | 예방 대책 |
---|---|---|
착화파괴형 폭발 | 연소성 가스 또는 증기가 공기와 혼합되어 착화되면서 발생하는 폭발 | – 복활성 가스로 치환 – 발화원 관리 – 혼합가스의 조성관리 – 열에 민감한 물질의 생성 방지 |
누설착화형 폭발 | 배관이나 설비에서 위험물이 누설되고, 착화원이 존재할 경우 발생 | – 위험물의 누설방지 – 밸브의 오조작 방지 – 누설물질의 검지 경보 설치 – 발화원 관리 |
반응폭주형 폭발 | 발열 반응이 급격하게 진행되며 폭발로 이어지는 경우 (예: 과산화반응, 중합폭주 등) | – 발열반응 특성 조사 – 반응속도 계측 및 제어 – 냉각시설 설치 |
📚 용어 추가 설명
복활성 가스로 치환: 산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 질소, 이산화탄소 등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폭발 가능성을 줄임
발화원 관리: 정전기, 스파크, 고온체 등 점화원을 제거하거나 차단
혼합가스 조성관리: 폭발범위(LEL~UEL) 안에 들어가지 않도록 농도 조절
누설물질 검지 경보: 가스 감지기를 통해 누설 발생 시 경고음 발생
반응속도 계측 및 제어: 반응 조건(온도, 압력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자동제어
냉각시설 조작: 발열 폭주 방지용 쿨링 시스템 (예: 냉각수, 냉매 사용)
🧠 시험 대비 요약 정리
키워드 | 암기 팁 |
---|---|
착화파괴형 | “가스 조성·발화원·열민감” 관리 |
누설착화형 | “누설 차단 + 경보 + 밸브 조작” 주의 |
반응폭주형 | “발열특성 분석 + 냉각” 조치 필수 |
✅ 결론
폭발 사고는 항상 예방이 최선입니다.
폭발의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에 맞는 시스템적인 예방 대책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실기시험에서는 예방 대책과 폭발 유형을 연결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니, 유형별 특징과 조치사항을 꼼꼼히 암기해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