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화재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그 과정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출화의 경과에 따른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을 설명한 것입니다.
1. 과전류(Overcurrent)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전기회로에서 허용 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흐를 때 발생
원인: 과부하, 장시간 사용, 배선 용량 초과
화재 발생 과정:
과부하 발생 → 전선 과열 → 절연 피복 손상 → 발화
예방 방법: 정격 차단기 사용, 부하 관리, 주기적 배선 점검
2. 단락(Short Circuit)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전기 회로에서 전류가 정상적인 경로를 벗어나 단시간에 큰 전류가 흐르는 현상
원인: 절연 파괴, 전선 손상, 이물질 침투
화재 발생 과정:
단락 발생 → 순간적인 대전류 발생 → 전선 용융 → 화재 발생
예방 방법: 절연 점검, 차단기 및 퓨즈 사용, 배선 보호
3. 누전(Leakage)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전류가 정상적인 경로가 아닌 다른 곳으로 새어 나가는 현상
원인: 절연 저항 저하, 배선 손상, 습기 침투
화재 발생 과정:
누전 발생 → 열 축적 → 절연체 탄화 → 발화
예방 방법: 누전차단기 설치, 정기적인 절연저항 측정
4. 지락(Ground Fault)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전류가 대지(땅)로 흘러서 전기설비에 이상이 발생하는 현상
원인: 절연 파괴, 전선의 대지 접촉
화재 발생 과정:
전류가 대지로 흐름 → 접지 저항에 의해 열 발생 → 발화
예방 방법: 접지 시스템 강화, 지락차단기 설치
5. 접속부 과열(Overheating of Connection)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배선이나 단자 연결부에서 접촉 저항 증가로 인해 과열이 발생하는 현상
원인: 느슨한 접속, 노후된 단자, 부식
화재 발생 과정:
접속부 저항 증가 → 발열 → 절연 피복 손상 → 발화
예방 방법: 정기적인 접속부 점검 및 조임, 내열성 단자 사용
6. 이산화동 증식 발열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접속부에서 구리가 산화되면서 접촉 저항이 증가하고 발열하는 현상
원인: 접속부 산화, 습기, 고온 환경
화재 발생 과정:
산화 구리 형성 → 접촉 저항 증가 → 발열 → 절연 파괴 → 발화
예방 방법: 내산화 접속재 사용, 주기적인 접속부 관리
7. 열적 경과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전기 설비에서 장기간 열이 축적되면서 절연 파괴 및 화재로 이어지는 현상
원인: 지속적인 과부하, 냉각 부족
화재 발생 과정:
지속적 과열 → 절연 피복 노화 → 탄화 → 발화
예방 방법: 적정 부하 유지, 발열 장비의 환기 확보
8. 절연 열화 또는 탄화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절연체가 열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고 발화하는 현상
원인: 노후화, 장시간 사용, 화학적 영향
화재 발생 과정:
절연 성능 저하 → 누전 발생 → 탄화 → 발화
예방 방법: 주기적인 절연 점검, 절연체 교체
9. 스파크(Spark)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전기 접점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불꽃이 가연물에 착화하여 발생하는 화재
원인: 접촉 불량, 플러그 탈착 시 아크 발생
화재 발생 과정:
스파크 발생 → 가연물 착화 → 연소 확대
예방 방법: 절연 커버 사용, 전기 접점 유지 관리
10. 정전기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공기 중 정전기 방전으로 인해 가연성 물질이 착화하여 발생하는 화재
원인: 건조한 환경, 마찰 대전, 불완전한 접지
화재 발생 과정:
정전기 발생 → 방전 → 가연성 기체 착화 → 화재 확대
예방 방법: 습도 조절, 정전기 방지 장비 사용
11. 낙뢰에 의한 전기화재
정의: 낙뢰로 인해 전기설비에 이상 전압이 유입되면서 화재로 이어지는 현상
원인: 피뢰 시스템 부재, 낙뢰로 인한 전력 시스템 손상
화재 발생 과정:
낙뢰 발생 → 과전압 유입 → 전기기기 손상 및 발화
예방 방법: 피뢰기 설치, 접지 강화
결론
전기화재는 과전류, 단락, 누전, 지락, 접속부 과열,
이산화동 증식 발열, 열적 경과, 절연 열화, 스파크,
정전기, 낙뢰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전기설비 점검,
절연 상태 유지, 접지 강화, 누전 및 차단기 사용 등의 대책이 필수적입니다.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 조치를 철저히 지켜 화재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