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동식 분포형 열감지기란? (공기관식, 열전대식, 열반도체식)

화재 초기 대응을 위한 열 감지기 중 하나인 차동식 분포형 열감지기는 넓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열의 상승 속도를 감지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 현장이나 특수 장소에서 활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차동식 분포형 열감지기의 대표적인 세 가지 방식인
① 공기관식, ② 열전대식, ③ 열반도체식원리와 특징을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차동식 분포형 열감지기란?

차동식 분포형 열감지기는 열이 빠르게 상승하는 상황, 즉 화재의 전조를 감지하는 장비입니다. 감지 대상이 넓은 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열이 발생한 구간에서 빠른 반응이 가능합니다.


1. 공기관식 감지기 (Pneumatic Type)

🔍 작동 원리

길게 연결된 공기관(튜브) 내부의 공기는 정상 상태에서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합니다.
화재 발생 시 열로 인해 공기관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 압력 변화가 감지부(감압 스위치)를 작동시켜 화재를 감지합니다.

✅ 특징

  • 튜브가 설치된 전 구간에서 열을 감지

  •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 용이

  • 기계실, 발전실, 자동화설비 등에 적합


2. 열전대식 감지기 (Thermocouple Type)

🔍 작동 원리

서로 다른 금속 두 종류를 연결하면, 온도 변화에 따라 전압이 발생하는데
이를 **제백 효과(Seebeck Effect)**라고 합니다.
열전대식 감지기는 이 원리를 이용하여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기전력 차이를 감지해 화재를 인식합니다.

✅ 특징

  • 반응 속도가 매우 빠름

  • 정밀한 온도 변화 감지 가능

  • 고온 환경, 공장, 발전소 등에 적합


3. 열반도체식 감지기 (Semiconductor Type)

🔍 작동 원리

열에 민감한 반도체 소자를 이용해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성질을 활용합니다.
화재로 인해 열이 빠르게 상승하면, 반도체 내부의 전기적 특성이 바뀌며
이 신호를 분석해 화재를 감지합니다.

✅ 특징

  • 반도체 기반으로 정밀한 분석 가능

  • 디지털 신호 처리 가능, 지능형 시스템 연동

  • 최근 자동제어 설비, 스마트 빌딩에 많이 활용됨


차동식 분포형 열감지기 설치 시 고려사항

  • 설치 공간의 넓이와 구조: 분포형 감지기는 넓은 공간에 적합

  • 열 발생 특성: 열이 천천히 오르는 장소보다는 급격히 상승하는 공간에 효과적

  • 현장 환경: 기계적 진동, 습기, 먼지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감지기 종류를 환경에 맞게 선택


요약 비교표

감지기 종류작동 원리특징추천 설치 장소
공기관식열로 공기 팽창 → 압력 변화 감지구조 단순, 설치 용이기계실, 설비실
열전대식온도 변화 → 금속 간 전압 발생고속 반응, 정밀 감지발전소, 대형 산업시설
열반도체식반도체 저항 변화 → 디지털 신호 감지지능형, 고정밀 감지스마트빌딩, 자동제어 시스템

결론

차동식 분포형 열감지기공간 전체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공기관식, 열전대식, 열반도체식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고 환경에 맞게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화재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대응을 위해 감지기 선택은 반드시 현장의 조건과 법령 기준을 반영해야 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