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기장판이란?
전기장판은 전기 열선을 이용해 바닥이나 침대에서 따뜻한 온기를 제공하는 난방 기기입니다.
특히 겨울철 실내 난방비 절감을 위해 많이 사용되지만, 잘못된 사용 시 화재 및 화상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전기장판의 위험성
1️⃣ 화재 위험🔥
- 장시간 사용 시 과열되어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
- 열선이 손상되거나 전선이 꼬이면 단락(합선)으로 인해 불이 날 수 있음.
- 침구류(이불, 매트리스 등)가 전기장판을 덮으면 열이 축적되어 과열 발생.
2️⃣ 화상 위험⚡
- 전기장판을 고온으로 설정하고 오랫동안 피부가 직접 닿으면 저온 화상 발생 가능.
- 피부가 약한 어린이 및 노약자는 특히 주의 필요.
3️⃣ 전자파 노출 가능성📡
- 전기장판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EMF)**가 장시간 노출될 경우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최근 제품들은 전자파 차단 기능이 있지만, 사용 시 거리 확보 및 간헐적 사용이 권장됨.
✅ 전기장판 안전한 사용법
1️⃣ 올바른 설치 방법
✔ 전기장판을 평평한 바닥에 설치 (열선이 꺾이거나 눌리지 않도록)
✔ 방수 기능 확인 후 사용 (습기 노출 시 감전 위험)
✔ 전기코드가 구부러지거나 눌리지 않도록 정리
2️⃣ 적절한 온도 설정
✔ 최고 온도로 설정 후, 일정 시간 후 중온으로 유지
✔ 장시간 사용 시 자동 온도 조절 기능 활용
✔ 수면 중에는 중·저온으로 설정하여 화상 예방
3️⃣ 화재 예방을 위한 올바른 사용법
✔ 전기장판 위에 이불, 쿠션, 라텍스 매트 깔지 않기 (열 축적 방지)
✔ 외출 시 반드시 전원 차단
✔ 안전 인증(KC마크, 전자파 인증) 확인 후 구매
✔ 사용 후 플러그를 뽑아 화재 및 전자파 노출 최소화
4️⃣ 주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
✔ 코드 손상 여부 확인 (누전 및 단락 방지)
✔ 1년에 한 번 이상 전기장판 상태 점검
✔ 5년 이상 사용한 제품은 교체 권장
🔥 전기장판 화재 시 대처 방법
만약 전기장판에서 불이 났다면, 즉시 아래와 같이 대처해야 합니다.
1️⃣ 전원을 즉시 차단
✔ 플러그를 뽑거나, 차단기를 내린다
✔ 코드가 불타고 있으면 직접 뽑지 말고 차단기부터 내림
2️⃣ 소화기 또는 물 대신 젖은 수건 사용
✔ 가정용 ABC 소화기를 이용해 불을 끈다
✔ 물 사용은 감전 위험이 있어 젖은 담요나 수건으로 덮어서 불을 차단
3️⃣ 연기가 심할 경우 즉시 대피
✔ 불이 빠르게 번지면 즉시 대피 후 119 신고
✔ 문을 닫고 대피하면 산소 공급이 줄어들어 불 확산 방지 가능
4️⃣ 주변 가구 및 가연성 물질 제거
✔ 커튼, 종이, 천 재질 등 불이 옮겨붙기 쉬운 물건을 치운다
✔ 불길이 커지면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안전한 곳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