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관리자는 산업 현장에서 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법적으로 배치되는 필수 인력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 및 시행령, 시행규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를 수행합니다.
✅ 안전관리자의 직무 9가지
사업장 안전교육계획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 관련
→ 보좌 및 조언·지도
📌 예: 정기안전교육, 신입사원 교육 계획 수립 및 실행 지원사업장 순회점검·지도 및 조치의 건의
→ 위험요인 확인 후 즉시 시정 조치 건의
📌 점검 항목: 보호구 착용, 기계 정비 상태, 통로 정리 등산업재해 발생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 대책 수립
→ 기술적 보좌 및 조언·지도
📌 예: 추락사고 발생 시 원인 조사, 개선계획 수립산업재해 통계 유지·관리 및 분석
→ 보좌 및 조언·지도
📌 연간 재해율 분석, 근로복지공단 보고자료 작성 지원안전인증 대상 기계·기구 구입 시 적격품 선정 조언
→ 자율안전확인 등 확인 후 보좌 및 조언·지도위험성평가에 대한 보좌 및 조언·지도
→ 유해위험요인 파악,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조치안전 사항 이행에 대한 보좌 및 조언·지도
→ 안전수칙 준수 여부 확인 및 개선 지도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노사협의체 관련 직무 이행
→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 내에서 정한 사항 수행업무수행 내용의 기록·유지
→ 점검일지, 교육일지, 회의록, 조치보고서 등 체계적 관리
✅ 결론
안전관리자의 역할은 단순한 감시가 아니라, 시스템적 안전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