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재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해 빈도율(FR), 강도율(SR), 총합재해도수율(FSI) 등의 지표를 활용합니다.
이러한 지표는 기업이 산업재해 발생 수준을 평가하고, 재해 예방 대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산업재해의 주요 지표를 계산 방법, 공식, 의미, 활용 방법을 중심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산업재해 지표란?
산업재해 지표는 재해 발생 빈도와 심각도를 평가하여 기업의 안전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안전 대책을 보완하고 재해 예방 조치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주요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빈도율(FR, Frequency Rate of Injury): 산업재해가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나타냄
✅ 강도율(SR, Severity Rate of Injury): 재해로 인해 발생한 손실 일수를 평가
✅ 총합재해도수율(SI, Frequency Severity Indicator): 빈도율과 강도율을 함께 반영하여 안전성을 종합 평가
2. 빈도율 (FR: Frequency Rate of Injury)
빈도율(FR)은 10⁶(100만) 근로시간당 재해 발생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일정 시간 동안 재해가 얼마나 자주 발생했는지를 수치화한 것입니다.
🔹 빈도율 공식


➡ 빈도율이 2라는 의미:
100만 근로시간당 2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했다는 뜻입니다.
🛠 빈도율 활용법
✅ 기업의 안전 수준을 측정하는 기본 지표
✅ 동종 업종 및 타 기업과의 안전 지표 비교 가능
✅ 일정 기간 동안 빈도율 변화 분석을 통한 안전 개선 효과 평가
3. 강도율 (SR: Severity Rate of Injury)
강도율(SR)은 1,000 근로시간당 발생한 손실 일수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즉, 재해로 인해 얼마나 많은 손실(휴업)이 발생했는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강도율 공식

➡ 강도율이 7.5라는 의미:
1,000 근로시간당 평균 7.5일의 손실이 발생했다는 뜻입니다.
🛠 강도율 활용법
✅ 산업재해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지표
✅ 재해 발생 시 기업의 생산성 손실 분석 가능
✅ 빈도율과 함께 사용하여 기업의 안전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
4. 총합재해도수율 (FSI: Frequency Severity Indicator)
총합재해도수율(SI)은 빈도율(FR)과 강도율(SR)을 함께 반영한 종합 지표입니다.
즉, 산업재해의 발생 빈도와 심각성을 동시에 고려한 지표입니다.
🔹 총합재해도수율 공식

➡ 총합재해도수율 숫자가 높은 의미:
해당 사업장은 재해 발생 빈도도 높고, 재해가 심각하여 손실도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총합재해도수율 활용법
✅ 산업재해의 전반적인 위험성을 측정하는 지표
✅ 빈도율과 강도율을 함께 고려하여 보다 객관적인 안전 평가 가능
✅ 특정 산업이나 기업 간 비교 시 재해 위험도가 높은 곳을 찾는 데 유용
5. 산업재해 지표 개선을 위한 전략
산업재해 지표를 낮추려면 기업은 예방 대책과 안전 교육을 강화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빈도율, 강도율, 총합재해도수율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1) 안전 교육 강화
- 산업 현장의 안전 규칙 및 절차 교육
- 정기적인 안전 훈련 및 시뮬레이션 시행
✅ 2) 보호 장비 사용 의무화
- 개인 보호 장비(PPE) 지급 및 사용 점검
- 안전 장비 유지보수 및 정기 점검 강화
✅ 3) 스마트 안전 시스템 도입
- IoT 기반 실시간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AI 기반 위험 감지 및 경고 시스템 활용
✅ 4) 안전 문화 조성
- 근로자와 경영진이 함께하는 안전 개선 프로그램 운영
-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6. 결론: 산업재해 지표 관리의 중요성
✅ 빈도율(FR): 재해 발생 빈도를 평가하는 기본 지표
✅ 강도율(SR): 재해의 심각도를 측정하여 손실 평가
✅ 총합재해도수율(SI): 산업재해의 전반적인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분석
📢 “산업재해 예방이 곧 기업의 경쟁력이다!”
기업은 빈도율과 강도율을 낮추는 데 집중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고, 생산성과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전한 사업장 = 생산성 향상 + 비용 절감 + 근로자 만족도 증가!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산업재해 지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