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열전선과 내화전선에 대해 알아보자. 차이점은 무엇일까?

건축물과 산업 현장에서 전선의 안전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화재 발생 시 전력 공급을 유지하거나, 고온 환경에서도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하는 전선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내화전선내열전선이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내화전선과 내열전선의 차이점, 특징, 그리고 주요 종류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1. 내화전선(Fire-Resistant Cable)과 내열전선(Heat-Resistant Cable) 차이

 

구분내화전선 (FR-8 / NR-8)

내열전선 (TR-3 / NFR-3)

정의불꽃이 직접 닿아도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선고온 환경에서도 절연 성능을 유지하며 정상 작동하는 전선
내화특성840°C / 30분 이상 견디는 전선360°C / 15분 이상 견디는 전선
절연체불연성 XLPE, 마이카 테이프내열성 XLPE
구조연합(다심) 케이블단심 또는 연합 케이블
주요 종류FR-8, MI (미네랄 절연 케이블)

600V 2종 비닐절연전선 (HIV), 가교폴리에틸렌 절연비닐,

외장케이블(CV), 버스덕트, 클로로프렌 외장 케이블 

용도– 비상등, 각종 화재 경보 배선
– 강당, 옥내 전선
– 스프링클러 경보 배선
– 600V 이하 일반 배선
– 산업용 배선
– 비상방송 및 고온 환경 배선

 

2. 내화전선 특징

 

내화전선은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선입니다. 주로 소방 시스템, 비상조명, 경보 시스템 등에 사용됩니다.

 

① 내화전선의 주요 특성

 

고온 내구성: 840°C 이상의 고온에서도 전력 공급 가능
불연성 절연체: XLPE(가교 폴리에틸렌) 및 마이카 테이프 사용
연합 케이블 구조: 여러 개의 도체가 합쳐진 형태로, 내구성이 뛰어남

 

 

② 내화전선의 주요 종류

 

  1. FR-8: 일반적인 내화전선, 30분 이상 전력 공급 가능
  2. MI (Mineral Insulated Cable, 미네랄 절연 케이블): 무기질 절연체를 사용하여 내화성이 뛰어나며, 병원, 데이터 센터 등 주요 시설에서 사용

 

③ 내화전선의 주요 용도

 

  • 비상 조명, 비상 방송 시스템
  • 스프링클러 및 화재 감지기 배선
  • 소방펌프 및 소방시설용 전력선

3. 내열전선 특징

 

내열전선은 고온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전선으로, 화재 발생 시 전력 공급보다는 절연 성능 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① 내열전선의 주요 특성

절연체 내열성: 360°C 이상에서도 절연 성능 유지
일반 배선 가능: 600V 이하에서 일반적인 산업용 배선으로 사용
단심 또는 연합 케이블: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 선택 가능

 

② 내열전선의 주요 종류

  1. TR-3: 내열 특성이 강화된 전선으로 산업 현장에서 사용
  2. NFR-3: 600V 이하의 비닐 절연 전선, 주로 건축물 내부 배선용

 

③ 내열전선의 주요 용도

  • 고온 작업장 및 산업 시설 배선
  • 비상 방송 및 통신 시스템
  • 고온 장비 내부 전력 배선

4. 내화전선과 내열전선 선택 시 고려할 점

 

1) 화재 발생 시 전력 공급 유지가 필요한가?

 

필요하다 → 내화전선(FR-8, MI 등) 선택
필요하지 않고 고온 환경에서 절연 유지가 중요하다 → 내열전선(TR-3, NFR-3 등) 선택

 

2) 설치 환경의 온도 조건은?

 

600V 이하의 일반 배선: 내열전선 (TR-3, NFR-3)
화재 시에도 비상 전력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내화전선 (FR-8, MI)

 

3) 비용과 내구성

 

비용이 높아도 최고 수준의 안전이 필요한 경우 → MI 케이블
일반적인 내화 성능이 필요할 경우 → FR-8
저렴한 비용으로 내열 성능을 원할 경우 → TR-3, NFR-3


5. 결론

 

내화전선내열전선은 모두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선이지만, 화재 시 전력 공급 유지 여부가 가장 큰 차이입니다.

 

  • 내화전선: 화재 발생 시에도 일정 시간 동안 전력 공급을 유지해야 할 때 사용
  • 내열전선: 단순히 고온 환경에서도 절연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 사용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