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화재시 대피방법!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신속하고 올바른 대피 방법을 아는 것이 생명을 지키는 데 중요합니다.

특히 대피 공간(피난층, 대피공간, 경량 칸막이 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각 층별 대피 방법과 구체적인 절차를 설명하겠습니다.


1. 고층 아파트 대피 공간이란? 

고층 아파트에는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주요 대피 공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대 내 대피 공간: 방화문이 설치된 방(현관 옆 작은방)으로 연기가 차단됨.
  • 경량 칸막이(발코니 대피 공간): 옆집과 연결된 얇은 벽으로, 파괴 후 탈출 가능.
  • 피난 층(피난 대피 시설): 일정 층마다 설치된 공간으로, 연기가 차단됨.
  • 옥상 대피: 불가피한 경우 최상층으로 대피 후 구조 요청.

2. 화재 시 기본 대피 원칙

✅ 1단계: 화재 발생 확인

  • 연기 감지기 알람이 울리거나, 연기 및 불꽃이 보이면 즉시 반응해야 합니다.
  • 문을 열기 전 손잡이가 뜨거운지 확인하고, 뜨거우면 다른 경로를 찾아야 합니다.

✅ 2단계: 초기 진화 시도(가능한 경우만)

  • 작은 불길이라면 소화기를 사용하여 진화.
  • 전기 화재인 경우 절대 물을 사용하지 말고, 분말 소화기 사용.

✅ 3단계: 대피 경로 선택

  • 계단을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이동(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 연기가 많다면 젖은 수건이나 마스크로 코와 입을 막고 이동.
  • 대피 공간이 가까우면 즉시 이동 후 문을 닫아 연기 차단.

3. 각 층별 대피 방법

✔ 1~5층: 신속한 탈출 가능

  • 계단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건물 밖으로 이동.
  • 베란다에서 구조 요청 가능(필요 시 완강기 사용).

✔ 6~15층: 대피 공간 활용 필수

  • 경량 칸막이 파괴 후 옆집으로 이동.
  • 세대 내 대피 공간(방화문 있는 방)에서 대기 후 구조 요청.
  • 가능하면 낮은 층으로 계단을 이용해 이동.

✔ 16층 이상: 피난 층 이용 및 구조 요청

  • 가까운 피난 층(대피 시설)으로 이동 후 대기.
  • 옥상이 개방된 경우 옥상으로 이동 후 구조 요청.
  • 연기가 많을 경우 낮은 자세로 이동.

4. 피해야 할 행동

❌ 엘리베이터 이용 금지: 정전 및 갇힐 위험 있음.

❌ 문을 열고 무작정 뛰어나가기: 연기 확산으로 질식 위험 증가.

❌ 높은 층에서 창문 밖으로 뛰어내리기: 구조를 기다리는 것이 안전.


5. 대피 후 해야 할 일

✅ 건물 밖으로 나오면 119에 신고하고, 대피 여부를 알림.

✅ 연기 흡입 시 물을 마시고 의료진 도움 요청.

✅ 다시 건물 안으로 들어가지 않기.


결론

고층 아파트 화재 시 올바른 대피 공간 활용과 대피 경로 선택이 중요합니다.

미리 대피 경로를 숙지하고, 비상 상황에서 침착하게 행동하는 것이 생명을 지키는 길입니다.

안전한 대피를 위해 평소 대비 훈련을 잊지 마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