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기 설치제외 장소는?

화재 감지기는 초기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여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는 핵심 소방 설비입니다. 하지만 모든 장소에 감지기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정한 환경에서는 감지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유지관리가 어려워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감지기 설치제외 장소와 설치 제외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감지기 설치제외 장소

다음과 같은 장소는 감지기의 감지 성능이 떨어지거나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설치가 제외됩니다.

  1.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20m 이상인 장소

    • 단, 부착 높이에 따라 적용성 있는 감지기는 예외

    • 높은 공간에서는 연기 또는 열이 충분히 도달하지 않아 감지가 어려움

  2. 외부와 기류가 통하는 장소

    • 감지기 성능에 영향을 미쳐 화재 시 효과적인 감지가 어려움

  3. 부식성 가스가 체류하고 있는 장소

    • 감지기 내부 부품 부식 가능성으로 인해 오작동이나 기능 저하 우려

  4. 고온·저온 환경

    • 감지기의 기능이 정지되기 쉽고, 유지관리가 어려움

  5. 목욕탕, 샤워실 등의 장소

    • 수증기나 습기로 인해 오작동 우려, 기타 유사 장소 포함

  6. 파이프 덕트 내부 또는 유사한 구조물 내부

    • 공간이 협소하고 밀폐되어 있어 감지가 제대로 되지 않음

  7. 먼지·가루 또는 수증기가 다량 발생하는 장소

    • 주변 평상시 연기로 인식되어 오작동 발생 가능성 높음

  8. 프레스공장, 주조공장 등 화재 위험이 낮은 장소

    • 감지기 유지관리 어려움, 설치의 실효성이 낮음


2. 감지기 설치제외 이유

설치 제외의 원인은 주로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됩니다.

  1. 비화재보 우려가 높은 장소

    • 실효성이 낮아 적응성이 없음

  2. 화재 발생 가능성이 극히 낮은 장소

    • 감지기 설치 필요성이 낮음

  3. 감지기 유지관리 어려움

    • 장비 접근이 어렵거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정기 점검이 불가능


결론: 감지기 설치는 ‘효율성’과 ‘환경적합성’이 핵심

감지기는 무조건 설치하는 것이 아닌, 실제 화재 감지에 효과적인 장소에만 설치해야 효율적입니다. 이를 위해 소방기술기준에서는 설치 제외 기준을 명확히 정해두고 있으며, 각 공간의 용도와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Leave a Comment